교수진
전영백
교수, 예술학과, 미술사학
2000년 이후, 홍익대학교 예술학과(학부)/미술사학과(대학원)에서 교수로 재직 중이다. 2019년 현재까지, 『현대미술의 결정적 순간들: 전시가 이즘을 만들다』, 『코끼리의 방: 현대미술 거장들의 공간』, 『세잔의 사과: 현대 사상가들의 세잔 읽기』 등의 저서와 『22명의 예술가, 시대와 소통하다: 1970년대 이후 한국 현대미술의 자화상』(편집서)를 출판했으며, 7권의 번역서와 23편의 논문을 출판한 바 있다. 홍익대학교 현대미술관 관장(2013-2015) 및 박물관 관장(2016-2018) 그리고 미술사학연구회 회장(2013-2015)을 역임하였다.
MAJOR
서양 근, 현대 미술사, 시각철학, 한국 현대미술사 및 미술비평
BIOGRAPHY
학력 및 학교활동
영국 리즈 대학교(Univ. of Leeds) 미술사학과 박사
영국 리즈 대학교(Univ. of Leeds) 미술사학과 석사
홍익대학교 미술사학과 석사
연세대학교 사회학과 학사

2016-18
홍익대학교 박물관 관장
2013-15
홍익대학교 현대미술관 관장
2012-16
동아시아 예술문화 연구소 소장
2001-현재
홍익대학교 미술대학 예술학과 (학부) / 미술사학과 (대학원) 교수
2000-01
홍익대학교 미술대학 (겸직교수)

대외활동
2020-
한국은행 화폐디자인 자문위원
2017-18
조달청 심의위원
2017
호암재단상 심사위원 (미술상 : 서도호 수상)
2017
김세중조각상 심사위원
2017
세화미술관 자문위원
2016
김종영미술상 심사위원
2016
한국문화예술위원회 심의위원
2015
동아일보 칼럼니스트
2015-
한국예탁결제원(KSD) 미술위원회 심의위원
2014-15
중국, 베이징 현대미술 예술위원회 심사위원
2013-18
사단법인 서울 나눔뮤직 그룹 이사
2013-14
문화예술위원회 프로젝트 ‘글로벌 현대예술 전문가 심화 아카데미’ 총괄
2013-15
미술사학연구회 회장
2012-14
백남준 문화재단 이사
2012-14
미술품 장식위원회 심의위원
2010-
미술사연구회, 현대미술사학회, 그리고 미술사학연구회 편집위원
2010-11
영국, Westminster Univ. 연구교수
2009-11
마포문화재단 이사
2002-
해외 학술지 ‘Journal of Visual Culture’ (영국, 런던) 편집 위원

2024

중앙일보 칼럼니스트
한화문화재단 이사
PUBLICATIONS
단독 저서
2021
『세잔의 사과』 개정확장판 (한길사, 2021)
2020
『전영백의 발상의 전환: 오늘날의 미술, 아이디어가 문제다』 (열림원, 2020)
2019
『현대미술의 결정적 순간들: 전시가 이즘을 만들다』(한길사, 2019)
2016
『코끼리의 방, 현대미술 거장들의 공간』(두성북스, 2016)
2008
『세잔의 사과: 현대사상가들의 세잔 읽기』(한길아트, 2008) - 문광부 선정 우수학술도서
단독번역서
2005
『후기구조주의와 포스트모더니즘』 (조형교육, 2005)
2005
『대중문화 속의 현대미술』 (아트북스, 2005)
2001
『고갱이 타히티로 간 숨은 이유』 (조형교육, 2001)
공동 번역서
2019
『눈의 폄하 : 20세기 프랑스 철학의 시각과 반시각』(서광사, 2019년)
2013
『미술사 방법론: 헤겔에서 후기식민주의까지 미술사의 다양한 시각들』(세미콜론, 2013)
2010
『월드 스펙테이터』(예경, 2010)
2005
『욕망, 죽음 그리고 아름다움』(아트북스, 2005)
책임 편집서
2010
『22명의 예술가, 시대와 소통하다: 1970년대 이후 한국 현대미술의 자화상』(궁리, 2010)
2011
『오늘의 미술가를 말하다(1)』(학고재, 2011) - 한국문화예술위원회 기획
공동 편저서
2020
「모던 아트의 거장들에 대한 메를로퐁티의 해석」, 『메를로퐁티 현상학과 예술세계』 (그린비, 2020)
2009
「마이클 주의 미술, 무거운 존재를 담는 진솔한 유머」, 『동시대 한국미술의 지형: 아르코 미술 작가론』 (학고재, 2009) - 한국문화예술위원회 기획
외국 저서
1996
‘Mother's Anger and Mother's Desire: the Work of Re-Hyun Park’, Generations and Geographies in the Visual Arts, (London: Routledge, 1996)
2006
‘Melancholia and Cezanne's Portraits: Faces beyond the Mirror’, Psychoanalysis and the Image(Blackwell, 2006)
국제 학술지  논문
‘Mother's Anger and Mother's Desire: the Work of Re-Hyun Park’, Generations and Geographies in the Visual Arts, (London: Routledge, 1996)
‘Looking at Cezanne through his own eyes’, Art History, vol. 25, no.3, (June 2002)
‘Korean Contemporary Art on British Soil in the Transnational Era’ Journal of Global Studies and Contemporary Art(GSCA), vol 1. no. 1. Feb. 2013. pp. 43 ~ 70.
국내 학술지  논문
“폴 세잔의  <대  수욕도>에  대한  정신  분석학적  고찰” 『서양미술사학회 논문집』 (서양미술사학회), 12집, 하반기, 1999. pp. 61–88.
 “미술사와 정신분석학  담론: 줄리아  크리스테바의  기호학적  그림  읽기” 『미술사학보』 (미술사학  연구회), 17집, 봄, 2002. pp. 213–251.
“영국의 형식주의  비평과  블룸즈버리(Bloomsbury) 그룹의  모더니즘  작품  연구” 『미술사학』 (한국미술사교육학회), 17호, 2003. pp. 241–274.
확장된 영역의  미술사: 로잘린드  크라우스  미술이론의  시각과  변천” 『현대미술사연구』 (현대미술사학회), 12월, 2003. pp. 111-144.
 “영국의 도시  공간과  현대미술: 제2차  세계대전  이후의  런던” 『서양미술사학회 논문집』 (서양미술사학회), 21집, 상반기, 2004. pp. 179-218.
 “메를로-퐁티의 현상학적  시각과  미술작품의  해석” 『미술사학보』 (미술사학  연구회), 25집, 12월, 2005. pp. 271–312.
 “미술사의 사진에  관한  화두: 사진의  정체성과  예술성에  관한  논의” 『미술사연구』 (미술사연구회), 20호, 12월, 2006. pp. 311–342.
 “70년대 이후, 현대  회화의  쇠퇴와  복귀에  관한  미술사적  논의” 『미술사학보』 (미술사학  연구회), 29집, 12월, 2007. pp. 29–58.
“충격가치를 너머선  내면의  소통: 곰리(Antony Gormley)와  화이트리드(Rachel Whiteread)” 『서양미술사학회 논문집』 (서양미술사학회), 30집, 상반기, 2009. pp. 265–293.
 “1960년대 이후  한국  현대  미술에  관한  사회학적  논의: 브르디외(Pierre Bourdieu)의  ‘자본’ 개념을  활용한  사회구조적  분석” 『미술사연구』 (미술사연구회), 23호, 2009. pp. 397–445.
“1970년대 이후  영국  “신미술사(New Art History)”의  방법론” 『미술사와 시각문화』 (미술사와  시각문화학회), 9호, 2010. pp. 272–303.
 “모더니티의 역설과  도심)(都心) 속  빈  공간: 벤야민의  파사주와  앗제(Eugène Atget)의  사진” 『미술사학보』 (미술사학  연구회), 37집, 12월, 2011. pp. 219–250.
“‘포스트미니멀리스트’ 아니쉬  카푸어Anish Kapoor의  신체를  닮은  형이상학적  작업” 『현대미술사연구』 (현대미술사학회), 32집, 12월, 2012. pp. 319-352.
 “여행하는 작가주체와  장소성: 경계넘기  작업의  한국작가들을  위한  이론적  모색” 『미술사학보』 (미술사학  연구회), 41집, 12월, 2013. pp. 165–193.
“서양의 현대  미술비평  동향  연구: 1980년대  이후  영·미권  미술사  및  비평담론의  주요  화두를  중심으로” 『미술사연구』 (미술사연구회), 27집, 12월, 2013. pp. 447–484.
 “동서교섭사로 보는  일본의  ‘미학적  국가주의’: 19세기  말-20세기  초  국제박람회  속  일본의  전시관  건축을  중심으로” 『미술사연구』 (미술사연구회), 31집, 12월, 2016. pp. 193-228.
“데이빗 호크니의  ‘눈에  진실한’ 회화: 1980년대  이후  반원근법, 비사진적  풍경화를  중심으로” 『서양미술사학회 논문집』 (서양미술사학회), 48집, 2월, 2018. pp. 153–181.
“베르그송의 ‘지속’과 세잔의 ‘시간 이미지’: 큐비즘에의 영향을 중심으로” 『서양미술사학회 논문집』 (서양미술사학회), 54집, 2월, 2021. pp.131-150.
「현대 사진에 작용하는 ‘반연극성’과 ‘관람’에 대한 마이클 프리드의 논의와 그 비판적 고찰: 작가의 의도(intentionality)와 관람자의 미적 경험 사이의 분리」, 『미학예술학연구』 (한국미학예술학회), 68집, 2월, 2023. pp. 196-224.
「인류세 위기 속 건축 패러다임의 전환과 브뤼노 라투르의 행위자네트워크 미학」, 『미술사학』 (한국미술사교육학회), 47호, 2024. pp. 239–27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