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수진
지민경
부교수, 예술학과
지민경 교수는 미국 펜실베니아 대학교 대학원에서 동아시아 미술사학으로 석사, 박사과정을 마쳤으며, 2014년 "Commoditizing the Tombs: Materialism in the Funerary Art of Mid-Imperial China and Korea.”로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2012년부터 2014년까지 필라델피아 미술관(Philadelphia Museum of Art) 연구원으로 일했으며, 현재 홍익대학교 예술학과 부교수 및 일반대학원 예술학과 학과장으로 재직중이다. 전공 분야는 한국 및 중국 미술사이며, 관심 연구 분야는 동북아시아의 장의예술과 시각문화이다.
BIOGRAPHY
이화여자대학교 정경학부 경제학과 미술사학과 학사
이화여자대학교 인문대학원 동양미술사학과 석사
University of Pennsylvania, East Asian Art History 석사
University of Pennsylvania, East Asian Art History 박사
2012-14
필라델피아 미술관(Philadelphia Museum of Art) 연구원
PUBLICATIONS
학술논문
2020
「중국 초기 산수화와 병풍 구조 관계 연구」, 『조형디자인연구』Vol. 23 No. 2, 2020, pp. 105-133.
2019
「서예작품의 담보대출 적격성 분석」, 『한국증권학회지』Vol.48, No.4, 2019, pp. 449-465 (공저).
2018
「장의예술로 본 동아시아 인형의 의미」, 『아시아문화연구소 연구논문집(Asia Culture Critique)』Vol.1, 2018, pp. 6-30.
2017
「예인(藝人) 이미지로 본 고대 중국 사후관념에서의 서역(西域)(The West in Ancient Chinese Posthumous Notions, Revisited through Entertainer Images)」, 『조형디자인연구』20호, 한국조형디자인학회, 2017, pp. 1~28.
2017
「북송·금대 고분벽화 속 묵서와 그 시각적 의미(Moshu: Ink Inscriptions on the Walls of the Song-Jin Tombs and Their Visual Significance)」, 『미술사학』33호, 한국미술사교육학회, 2017, pp. 7~36.
2016
「중국 근세 시각문화에서의 이미지 생산과 소비-磁州窯系 瓷枕을 중심으로(Production and Comsumption of Image in the Early Modern Period of China: Cases of Cizhou Ware Pillow)」, 『한국도자학연구』13호, 한국도자학회, 2016, pp. 107~136.
2015
「寶山墓를 통해 본 遼代 초기 시각문화(Murals of the Baoshan Tombs and Visual Culture of the Early Liao Period)」, 『미술사논단』41호, 한국미술연구소, 2015, pp. 7~38.
2014
"Commoditizing the Tombs: Materialism in the Funerary Art of Mid-Imperial China and Korea.", PhD Dissertation, University of Pennsylvania, 2014.
2011
「10~14세기 동북아 벽화고분 예술의 전개와 고려 벽화고분의 의의(The Implications of the Goryeo Mural Tombs in Northeast Asian Visual Art)」, 『미술사연구』25호, 미술사연구회, 2011, pp. 67~107.
2011
「北宋·金代 裝飾古墳의 소개와 기초 분석(Introduction and Preliminary Analysis of the Decorative Tombs of Northern Song (960-1127) and Jin (1115-1234) Periods)」, 『美術史論壇』33호, 한국미술연구소, 2011, pp. 203~236.
서평
2016
「전호태, 『고구려 벽화고분』(돌베개, 2016. 8)」, 『美術史學硏究』292, 2016. 번역서 및 도판해설
2014
「Treasures from Korea: Arts and Culture of the Joseon Dynasty, 1392-1910, Philadelphia: Philadelphia Museum of Art, 2014.